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기타정보

인턴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 수급 조건부터 신청법까지 2025 최신 정리

by Jin_Tory 2025. 6. 20.
반응형

"4개월 인턴했는데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요?" "단기 계약직도 실업급여 대상인가요?" 이 질문, 요즘 20~30대 직장인·취준생들이 자주 던지는 고민입니다. 특히 인턴이란 고용 형태 특성상, 정확히 실업급여 대상인지 애매한 경우가 많죠.

이 글 하나로 다음 3가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 조건: 인턴도 가능?
  • 실제 수급 사례 + 승인 포인트
  • 신청 절차 및 증빙 준비 노하우

인턴 실업급여 수급 자격

목차

실업급여 수급 조건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 이직을 한 경우에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아래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퇴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2. 이직 사유가 자발적이 아닌 경우 (계약만료, 권고사직 등)
  3.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

실행 팁:

  • 180일은 누적 기준입니다 (예: 알바 + 인턴 포함 가능)
  • 계약만료는 ‘비자발적 이직’으로 인정됩니다
  • 고용보험 가입 여부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수급 가능한 인턴 유형

다음 조건에 부합하면 인턴도 실업급여 수급 가능합니다:

  • 급여 지급이 있으며,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경우
  • 고용보험 가입된 사업장 소속
  • 출퇴근, 지시체계, 업무수행 등 근로자 성격을 가짐

사례: B씨는 6개월간 유급 인턴으로 IT기업 근무, 계약 만료 후 고용보험 200일 누적 → 실업급여 신청 및 승인

실행 팁:

  • 근로계약서, 급여명세서 등 문서 확보
  • 보험 가입 여부 미리 체크
  • 퇴사 후 바로 구직등록 필요

수급 불가 인턴 예시

아래 유형은 실업급여 수급이 어렵습니다:

  • 무급 인턴 (고용보험 미가입)
  • 공공기관 체험형 프로그램
  • 학교 연계 현장실습

실행 팁:

  • 사전에 근로자 성격 여부 확인
  • 4대 보험 가입 여부 고지 요청
  • 무급이라면 차라리 단기계약직 추천

실제 사례와 수급 흐름

26세 C씨: 스타트업 3개월 인턴 후 퇴사. 이전 카페 알바 4개월 경력 포함 → 고용보험 누적 185일 → 실업급여 월 62만원 × 3개월 수령

실행 팁:

  • 여러 경력을 합산해 피보험일수 계산 가능
  • 이직확인서 누락 시 → 고용노동부 민원 가능
  • 구직활동계획서 미제출 시 지급 지연 주의

실업급여 신청 단계별 가이드

  1. 퇴사 후 14일 이내 워크넷에 구직 등록 (work.go.kr)
  2.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수급 신청
  3. 1차 고용센터 방문 → 구직활동계획 수립
  4. 대기기간 7일 후 첫 실업급여 지급 개시

실행 팁:

  • 워크넷 구직등록이 1순위!
  • 지급일마다 구직활동 증빙 필요
  • 실업인정일 놓치면 지급 연기됨

FAQ: 인턴 실업급여 핵심 질문

  1. Q. 3개월 인턴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 과거 아르바이트 등 포함해 총 180일 이상 고용보험 이력이 있으면 가능.
  2. Q. 무급 인턴인데도 받을 수 있나요?
    A. 불가능. 고용보험 가입이 필수 조건입니다.
  3. Q. 자발적 퇴사지만 사유가 있어요. 가능?
    A. 회사 내 괴롭힘, 임금 체불 등은 예외적으로 수급 가능성 있습니다.
  4. Q. 회사가 고용보험 안 넣어줬어요.
    A. 고용노동부 민원 → 확인되면 소급 가입 가능.
  5. Q. 하루만 빠져도 180일 인정 안 되나요?
    A. 법적으로 180일 이상이 기준입니다. 단 1일 부족해도 수급 불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