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기타정보

장기전세주택 신청 조건 및 절차 총정리 (2025년 기준)

by Jin_Tory 2025. 4. 4.
반응형

2025년, 전세 가격은 오르고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장기전세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장기전세는 시세의 80% 이하 금액으로 최대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해, 무주택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주거 정책입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조건부터 절차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장기전세주택이란?

장기전세주택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중 하나로, 보증금만 내고 최대 20년간 거주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주로 서울·수도권 지역에 공급되며, 시세의 60~80% 수준 전세금으로 입주할 수 있어 실질적인 주거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2025년 신청 자격

  • 무주택 세대주일 것
  •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1년 이상 거주 중일 것 (서울권 SH 기준)
  • 가구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일 것
  • 재산 기준: 총 자산 3억 3천만 원 이하,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공급 지역 및 평형대

SH 장기전세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 주거 밀집지역 위주로 공급되며, 평형은 보통 25㎡~59㎡까지 다양합니다. 일부 대단지 아파트에서는 84㎡까지 공급되기도 합니다.

20대 여성이 원룸에서 혼밥하며 전세주택 정보를 확인하는 장면

신청 절차 요약

  1. 공고 확인: SH공사 또는 LH청약센터 홈페이지에서 모집공고 확인
  2. 청약 신청: 온라인 청약 접수 (공인인증서 필요)
  3. 서류 제출: 온라인 제출 또는 방문 접수
  4. 당첨자 발표 및 계약: 심사 통과 시 전세금 납부 후 입주 계약

👉 SH공사 장기전세주택 공고 확인하러 가기

유의사항

  • 소득 및 자산 기준은 매년 조정되므로, 해당 연도 기준 반드시 확인
  • 재계약은 심사를 거쳐야 가능하므로, 중간에 기준을 초과하면 퇴거 대상이 될 수 있음

자취 중인 여성이 집에서 커피를 마시며 청약 정보를 확인하는 모습

마무리 정리

장기전세주택은 서울 같은 고가 전세시장에서는 매우 유용한 대안입니다. 무주택자이면서 안정된 거주를 원하는 분들에게는 절호의 기회일 수 있으니, 공고일정을 꾸준히 확인하고 조건이 맞을 때 바로 신청하세요.

이 글이 유익했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부동산, 청약 정보 꾸준히 업데이트할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