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기타정보

2025 공시지가 조회 방법|국토부 기준 부동산 가격 확인 총정리

by Jin_Tory 2025. 4. 19.
반응형

“내 땅 공시지가 얼마야?”

2025년에도 부동산 세금과 보유 전략을 짤 때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바로 ‘공시지가’입니다. 정확한 시세를 알기 어렵더라도, 정부가 고시한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건강보험료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회 방법을 제대로 알아두는 게 필수입니다.

공시지가란?

공시지가(표준지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토지에 대한 기준 가격입니다. 감정평가사 등이 평가한 표준지를 바탕으로 개별 토지 가격이 산정되며,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됩니다.

  • 기준일: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산정
  • 공시일: 2025년 3월 20일 국토부 고시
  • 적용 대상: 전국 토지(표준지 + 개별공시지가)

2025 공시지가 조회 방법 (국토교통부 공식)

  1.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접속
  2. [표준지/개별공시지가 조회] 메뉴 선택
  3. 주소 입력 또는 지번 검색
  4. 해당 토지의 2025년 공시지가 확인

2025년 공시지가 조회 방법 요약 이미지

표준지 vs 개별공시지가 차이

  • 표준지: 감정평가사 선정된 대표 필지 → 전체 지역 가격 산정의 기준
  • 개별공시지가: 각 지자체장이 표준지를 기준으로 개별 토지 산정

공시지가 조회 예시 (서울 기준)

지역 2024 공시지가(원/㎡) 2025 공시지가(원/㎡) 변동률
서울 강남구 대치동 22,000,000 21,500,000 -2.3%
서울 마포구 연남동 12,200,000 12,600,000 +3.3%
서울 송파구 잠실동 17,300,000 17,300,000 0%

공시지가 활용처는?

공시지가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다양한 행정 절차의 기준이 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경우에 공시지가 기준이 직접 적용됩니다.

  • 보유세 부과: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산정 기준
  • 양도소득세: 시가가 없을 경우 공시지가로 기준가 설정
  •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 재산 항목 평가 기준
  • 기초연금·복지수급: 재산 평가 시 활용

공시지가로 절세 전략 세우기

공시지가 변동을 매년 체크하면 보유세 대응은 물론, 자산 이동 시기 조절에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시세 대비 공시지가가 높게 나올 경우, 증여세 또는 양도세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전략적으로 자산 이전 또는 매도 시점을 조율해야 해요.

2025 서울 주요지역 공시지가 비교표

자주 묻는 질문 (FAQ)

  • Q. 공시지가는 언제 발표되나요?
    2025년 기준 3월 20일에 국토교통부에서 일괄 공시되었습니다.
  • Q. 실제 거래가격과 차이가 큰데 왜 쓰이나요?
    공시지가는 세금 등 행정 기준용이므로 시세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Q. 공시지가 이의신청 가능한가요?
    네. 공시일로부터 약 30일간 이의신청 가능하며, 시·군·구청 또는 온라인에서 접수합니다.

관련글 보기

외부 참고 사이트

맺음말

공시지가는 단순한 정보가 아닌, 내 부동산 자산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매년 변동되는 공시가격을 체크하면서, 세금 전략과 보유 계획을 미리 세워보세요. 국토교통부의 공식 경로를 통해 안전하게 확인하고, 놓치면 손해 보는 절세 타이밍을 절대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

댓글